국립생태원, 주민 제보 토대로 3년간 조사…200마리 이상 살아
멸종위기인 붉은점모시나비 200여마리가 집단으로 서식하는 곳이 확인됐다.
국립생태원은 강원 삼척시 광동댐 일대를 3년간 조사한 결과 200마리 이상의 붉은점모시나비가 사는 것을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2023년 5월 주민의 제보를 토대로 시작했다.
붉은점모시나비 집단 서식이 확인된 광동댐 상류 사면은 일조량이 풍부하고 암반이 많아 붉은점모시나비 유충이 먹는 기린초가 자라기 적절하며 사람의 출입이 제한돼 포획의 위협에서 안전하다고 생태원 측은 설명했다.
붉은점모시나비는 환경부가 지정한 1급 멸종위기 야생생물이자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CITES)의 보호를 받는 국제적 멸종위기종이다.
날개에 붉은 원형 무늬가 있어 영어권에서는 그리스 신화에서 태양을 관장하는 신인 아폴로의 이름을 따 ‘아폴로 버터플라이’로 불린다. 무늬 때문에 ‘가장 아름다운 나비’로 꼽히기도 한다.
과거에는 붉은점모시나비를 한반도 전역에서 볼 수 있었다. 1980년대만 해도 강원 춘천시 강촌과 경기 남양주시 천마산 등 20곳 이상에서 채집됐으나 현재는 삼척시와 경기 연천군 등 극히 일부 지역에서만 서식이 확인된다.
붉은점모시나비는 사람의 무분별한 남획과 개발로 서식지가 파괴되면서 멸종위기에 몰렸다. 특히 붉은점모시나비 유충은 장미목 돌나물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인 기린초만을 먹는데 기린초 서식지가 크게 줄어든 점이 큰 영향을 미쳤다.
당국과 학계가 붉은점모시나비 복원 사업을 지속해서 벌여왔지만, 추운 기후에 적응한 한지성 나비로 기후변화에 민감해 멸종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을지 미지수다.
국립생태원은 광동댐을 비롯해 전국 붉은점모시나비 서식지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해 종 복원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