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지구촌뉴스

  • 홈 아이콘HOME
  • 지구촌뉴스
  • 홈 아이콘
  • 지구촌뉴스
“생물다양성 손실 억제위한 민간 자연금융 확대 시급”

“생물다양성 손실 억제위한 민간 자연금융 확대 시급”

기후솔루션 보고서

‘자연금융 격차 진단’

한국이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동원해야 하는 자연금융 규모가 2030년 기준 5조5500억원에 달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자연금융은 자연복원 등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투입되는 재원을 말한다.

제15차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OP15)에서 채택된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에 따르면, 지구환경기금(GEF) 산하에 연간 2000억 달러 규모의 생물다양성기금을 설립해야 한다. 이를 위해 선진국 정부와 민간기관들은 2030년까지 매년 최소 300억달러를 출자해야 한다.



콜롬비아 칼리에서 열리고 있는 제16차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COP16) 정상회의 블루존에서 수사나 무하마드 콜롬비아 환경부 장관 겸 COP16 의장(가운데)이 CBD 사무국장 아스트리드 쇼메이커(왼쪽)와 유엔환경계획(UNEP) 사무총장 잉거 안데르센과 함께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 AFP연합뉴스

기후솔루션은 ‘자연금융 격차 진단: 생물다양성을 지키기 위한 한국 은행의 역할’ 보고서를 31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자연금융을 위해 매년 약 42억달러(약 5조5500억원)를 동원해야 한다. 이는 해외개발연구소(ODI) 자료를 이용해 경제력 생태발자국 인구 등을 반영해 계산한 수치다.

기후솔루션은 “정부가 추산한 2020년 생물다양성 분야 지출은 1조8500억원 규모로 책임분에 크게 못 미친다”며 “게다가 민간 금융은 자연금융 개념조차 모호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 기관의 연구에 따라 2030년 예상되는 정부의 생물다양성 지출은 3조4600억원 수준으로 목표 대비 약 2조 원이 부족하다”며 “이런 큰 부족분을 고려하면 민간에서도 생물다양성 정책 도입과 투자가 대규모로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제16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COP16)가 11월 1일까지 콜롬비아 칼리에서 열린다. 이번 총회는 국제사회가 2030년까지 달성하기로 한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채택 후 처음으로 열리는 회의다.

국제사회가 생물다양성 문제에 주목하는 주된 이유 중 하나는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이다. 세계경제포럼(WEF)은 ‘국제 위험 보고서’에서 향후 10년간 인류가 직면할 가장 큰 위험 중 하나로 생물다양성 감소 및 생태계 붕괴를 꼽았다.